미국의 대표적인 의류업체 애버크롬비가 올해 들어 주가가 96% 급등하며 뉴욕증시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중국 초저가 패션 플랫폼 쉬인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복고 열풍과 MZ 세대 공략이 성공하면서 매출이 빠르게 증가한 결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애버크롬비의 주가 상승 배경과 성공 요인, 앞으로의 전망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애버크롬비의 주가 상승 배경
2024년 7월 1일 기준 애버크롬비의 주가는 1주당 177.84달러로, 연초 대비 96% 상승했습니다. 최근 12개월 주가 상승률은 372%로, 인공지능(AI)용 반도체 간판기업인 엔비디아의 192% 상승률을 훨씬 뛰어넘습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은 복고 열풍과 함께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변화하면서 이루어졌습니다.
과거의 인기와 현재의 부활
1892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된 애버크롬비는 2000년대 중반 들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시장 환경이 급변하면서 망한 패션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특히, 스웨덴의 H&M, 스페인의 자라 등을 거느린 인디텍스 등 유럽계 SPA 브랜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다양성을 강조하는 소비자 선호도 변화와 온라인 쇼핑의 확산세에 밀린 결과, 작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주가가 2007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복고 열풍과 MZ 세대 공략
최근 애버크롬비는 글로벌 패션 업계가 중국 초저가 패션 플랫폼 쉬인의 가격 공세로 고전하는 상황에서도 매출을 꾸준히 늘리고 있습니다. 이는 복고 열풍과 MZ 세대(밀레니얼+Z세대) 공략에 성공한 덕분입니다. 1990~2000년대 초반 분위기를 살린 이른바 ‘Y2K’ 스타일이 유행하면서 애버크롬비의 제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매장 리모델링과 온·오프라인 강화
애버크롬비는 매장 규모를 조정해 임대료를 줄이고, 매장을 리모델링하며 온·오프라인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을 펼쳤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사업 마진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특히, 소비자들의 저가 선호 추세에 맞춰 실내 생활복을 확장한 것도 긍정적인 변화로 작용했습니다.
실적 전망과 투자자 반응
애버크롬비는 지난 5월 말 실적 발표 자리에서 한 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기존에 제시했던 4%~6% 성장 전망을 상향한 것입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실적 전망은 투자자들에게 큰 기대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과 리스크
월가에서는 씨티그룹이 애버크롬비에 대해 중립 의견을 유지하면서도 12개월 목표가를 기존 150달러에서 190달러로 높였습니다. 텔시 어드바이저 측은 애버크롬비의 전략적 변화와 Y2K 스타일 유행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다음 분기에도 실적이 높은 기대치를 뛰어넘지 못하면 실망 매물이 나오면서 주가가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버크롬비는 지속적인 실적 개선과 새로운 트렌드에 대한 민첩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결론
애버크롬비는 복고 열풍과 MZ 세대 공략에 성공하면서 올해 주가가 96% 급등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매장 리모델링과 온·오프라인 강화, 실내 생활복 확장 등의 전략적 변화가 사업 마진과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다음 분기에도 높은 기대치를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애버크롬비는 앞으로도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뤄내야 할 것입니다.
'정치 도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사 콜센터에서 벌어지는 성희롱 실태와 대응의 필요성 (0) | 2024.07.02 |
---|---|
외국인 투자자와 개미투자자의 매매 동향 분석: SK하이닉스 주가 상승 주도 (0) | 2024.07.02 |
상반기 펀드 시장 성과 분석: 미국, 인도, 일본의 선전과 국내 펀드의 저조한 성과 (0) | 2024.07.02 |
4세대 실손 보험료 할증제도 첫날, 업계 반응과 전망 (0) | 2024.07.02 |
CJ ENM, 하반기 기대감 증폭: 나영석 PD와의 콘텐츠 동맹으로 반전 예고 (1) | 2024.07.02 |